# 아침마다 쥐 나서 깨는 것도 없어졌고
양쪽 어깨에 배낭자국과 함께 든 멍도 없어졌다.
어깻죽지와 종아리 근육이 찢어져라 아프지도 않다.
햇빛에 그을린 것 마냥 새까맣게 탔던 피부도 가라앉았다.
불긋불긋했던 베드버그 자국은 점점 희미하게 없어지고 있고
아스투리아스 마녀같이 뻣뻣해진 머리카락도 다시 고분고분해졌다.
어떻게 지나갔는지도 모르게 벌써 한 달이 흘렀다.
신발을 벗고 집에 막 들어왔을 때의 그 어색함, 그리고 따뜻한 온기:)
맨발이 마룻바닥에 닿았는데 순간 오만가지 생각이 들었다.
이제 무거운 등산화 안 신고 다녀도, 배낭 안 지고 다녀도 되는구나
샴푸, 바디클렌저, 클렌징폼, 비누도 모두 따로따로 사용할 수 있겠구나
탭 누르고 있으면서 물벼락을 맞지 않아도 샤워기로 샤워도 하고 머리 감을 수 있겠다
매일 찬물에 손빨래하지 않아도 되는구나
베드버그 걱정하며 침대랑 옷 신경쓰지 않아도 되겠구나
피에스타랑 시에스타 신경쓰지 않고도 언제든 뭘 사먹을 수 있겠다 등등
하나씩 떠오를 때마다 그동안 참 생고생을 했구나 싶었다.
그래도 가끔은 그립다.
여행이나 업무가 아니라 생활 그 자체였으니
사소한 순간에도 문득 문득 생각이 난다.
아마 반드시 여기가 아니면 어디서도 겪지 못할 추억일거다.
또 한 걸음 한 걸음 걸어서 완성했기에 그만큼 소중하다.
물론 베드버그는 빼고-
치밀하게 준비해서 간 것도 아니고 결코 자신만만해서 떠난 것도 아니다.
등산은 커녕 공원 한 바퀴도 버거운 저질체력.
등산화와 배낭, 스틱까지 모두 처음 만나는 제3세계 물건이었다.
까미노 델 노르테(Camino del Norte)에 대한 정보도 거의 없었고
하루하루 어떤 길을 지나게 될 지로 몰랐다. 심지어 스페인어도 못했다.
모르면 용감하다더니 다녀온 뒤인 지금 생각해봐도 좀 무모했던 것 같다ㅋ
그치만 바라고 있던 걸 이뤘다는 것.
그리고 스스로 해냈다는 것.
두 가지는 그 무모함으로 얻은 값진 경험이다.
지금은, 오히려 제대로 알기 전에
혹은 더 늦기 전에 떠났던 걸 다행이라고 생각한다.
순례자들은 흔히들 까미노를 인생길에 비유한다.
배낭은 자신이 일생동안 짊어지고 가야할 짐의 무게이고
까미노는 오르락내리락 구불구불 예측할 수 없는 우리네 인생길이라고 말이다.
다만 노란 화살표가 없을 뿐이다.
한 번의 인생길을 걸은 셈이니 다시 태어난 기분으로ㅋ
앞으로도 계속되는 까미노를 해야겠다.
'Buen Camino, My Life~!'
'2010 > Camino de Santiago-del Nort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40. 스물 다섯, 40일간의 까미노를 마치며 (0) | 2010.11.01 |
---|---|
#39. 산티아고행 노란 화살표(Fisterra-Santiago de Compostela) (0) | 2010.11.01 |
#38. 마지막 여정(Santiago de Compostela-Fisterra : 89km) (0) | 2010.10.31 |
#37.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(Monte de Gozo-Santiago de Compostela:4.86km) (0) | 2010.10.31 |
#36. 카페 콘 레체 다섯 잔만큼(Pedrouzo-Monte de Gozo : 15.12km) (0) | 2010.10.30 |